지난 한해 요양기관 수는 모두 8만6629개소로 2013년과 비교해 1658개소(1.95%↑)가 증가했으며, 가장 많이 증가한 종별은 의원으로 33.47%(555개소)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12일 국민건강보험법령으로 관리되고 있는 2014년 말 기준 우리나라 요양기관(병․의원 등) 현황 통계를 발표했다. 이번 요양기관 현황 통계는 심평원의 요양기관 수와 행정자치부의 지방자치단체별 인구수와 면적 등을 연계해 분석했다.
특히, 지방자치단체 간 지역 주민들의 보건의료서비스 제공 수준을 비교할 수 있는 주요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요양기관 창업을 준비하는 의료인들에게 개원지역 선택에 유용한 정보로 제공·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지난해 요양 기관 현황의 주요 특징은 한방병원의 경우 2014년 증가율(8.96%↑)이 2013년 증가율(5.47%↑)보다 3.49%p 상승해 증가세가 확대되는 반면, 요양병원은 2014년 증가율(8.52%↑)이 2013년 증가율(11.70%↑)보다 3.17%p 하락하는 등 증가세가 다소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특징을 보면 전체 요양기관의 49.72%가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에 집중돼 있으며, 요양기관 수가 가장 많은 지역은 서울 강남구로 2761개소가 있는 반면, 가장 적은 경상북도 울릉군은 10개소에 불과해 두 지역간 약 276배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눈여겨 볼 대목은 강남구는 울릉군에 비해 인구수는 약 56배 더 많으나, 요양기관 수는 약 276배가 더 많음에 따라 인구 대비 요양기관의 분포 불균형이 매우 크다는 점이다. 특히, 11개 요양기관 종류 중 6개 종류(병원, 의원, 치과병원, 치과의원, 한의원, 약국)에서 강남구가 요양기관 수 1위를 차지했다.
요양병원은 경상남도 김해시가 28개소, 한방병원은 광주광역시 북구가 24개소로 각각 최다 지역으로 나타난 반면, 경상북도 울릉군에는 보건기관과 한의원을 제외한 의원과 치과의원이 없어 의료혜택이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1만명당 2014년 요양기관 수는 16.88개소이며, 기초자치지역 중 최다는 대구 중구 66.74개소, 최소는 부산광역시 강서구 8.92개소로 확인됐다. 시지역 평균은 15.16개소로, 군지역 17.57개소와 구지역 18.52개소는 물론, 전체 평균에 다소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다지역 대비 최소지역의 편차가 시 지역은 12.05개소로, 군 지역 16.62개소와 구지역 57.85개소 보다 오히려 작아 군과 구지역에서 지역별 불균형이 더욱 뚜렷한 것으로 보였다.
한편 2014년 요양기관 밀도는 0.86으로, 우리나라 면적 1㎢당 요양기관이 0.86개소가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초자치지역 중 대구광역시 중구는 1㎢당 요양기관 74.50개소가 분포하고 있어 밀도가 가장 높은 반면, 밀도가 가장 낮은 지역은 강원도 인제군과 경상북도 영양군으로 1㎢당 요양기관 0.03개소가 분포했다.
심평원 박영자 자원기획부장은 “이번에 발표한 요양기관 현황 통계는 지역별 보건의료자원 정책 수립과 평가에 필요한 시군구 단위의 세분화된 기본통계로 의미가 크다”며, “앞으로도 국민, 요양기관, 정부 등에 도움이 되는 보건의료자원 통계를 적극적으로 발굴해 공개할 것”이라고 밝혔다.